-
SQLD[요약정리05/05~05/28]자격증/sqld 2022. 5. 5. 14:05
SQL의 정의
*SQL(Stuctured Query Language) 은 데이터 베이스를 직접적으로 엑세스 할수 있는 언어로, 데이터를 정의하고,
조작하며, 조작한 결과를 적용하거나 취소할수있고,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처리들로 구성된다.
*데이터 모델링
-현실 세계를 데이터 베이스로 표현하기 위해 추상화한다.
1.데이터 모델링의 특징
- 추상화 -현실세계를 간략히 표현
- 단순화 - 누구나 쉽게 이해할수 있도록 표현
- 명확성 - 명확하게 의미가 해석되어야 하고 한가지 의미만 가져야함
2. 데이터 모델링 단계
- 개념적 모델링
- 논리적 모델링
- 물리적 모델링
[1] 개념적 모델링
-고객의 비지니스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업무 전체에 대해서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
-복잡하게 표현하지 않고 중요한 부분을 모델링 하는단계
-업무적인 관점에서 모델링하며 기술적인 용어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.
-엔터티(entity)와 속성(Attribute)을 도출하고 개념적 ERD(Entity Relationship Diagram)을 작성한다.
[2] 논리적 모델링
-개념적 모델링을 논리적 모델링으로 변환하는 작업
- 식별자도출,필요한 모든 릴레이션을 정의
- 정규화 수행->데이터 모델의 독립성 확보
[3] 물리적 모델링
-데이터베이스를 실제 구축(테이블,인덱스,함수)생성
-성능,보안,가용성을 고려해서 구축한다.
3.데이터 모델링의 3가지 중요 개념
-어떤 것(Things)
-성격(Attributes)
-관계(Relationships)
4. ERD 작성 절차
①엔터티를 도출하고 그린다->②엔터티를 배치한다(중요한 엔터티를 왼쪽 상단 배치)->③엔터티간의 관계 설정
->④관계명을 서술->⑤관계 참여도를 표현(EX)한 개의 엔터티와 다른 엔터티 간의 참여하는 관계 수)->⑥관계의 필수여부 표현
5.데이터 독립성 요소
- 외부 스키마 : 사용자 관점, 관련데이터베이스의 뷰(View)를 표시한다(응용 프로그램이 접근하는 데이터베이스)
- 개념 스키마 : 모든 사용자 관점을 통합한 전체 DB(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조)
- 내부 스키마 : 개발자관점, 물리적 장치에서 데이터가 실제적 저장
- 논리적 독립성 : 개념스키마 변경 외부스키마에 영향X
- 물리적 독립성 : 내부스키마 변경 외부 개념스키마에 영향X
6.엔터티(Entity)
엔터티란 :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집합적인 것, 보이지 않는 개념 포함
- 반드시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함
- 유일한 식별자에 의해 식별 가능
-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의 집합
- 업무 프로세스에 의해 이용되어야 함
- 반드시 속성이 있어야 함
- 다른 엔터티와 최소 1개 이상의 관계가 있어야 함
엔터티 분류
1.유무형에 따른 분류 :유형,개념 사건 엔터디
- 유형: 물리적 형태 ex)사원, 물품, 강사
- 개념: 개념적 정보 ex)조직, 보험 상품
- 사건: 업무수행시 발생 ex)주문, 청구 ,미납
2.발생시점에 따른 분류
- 기본: 타 엔터티의 부모역할 ,자신의 고유한 주 식별자 가짐 ex)사원,부서
- 중심: 기본 엔터티로부터 발생, 다른 엔터티와의 관계로 많은 행위 엔터티 생성 ex) 계약, 사고, 주문
- 행위 : 2개 이상의 부모 엔터티로 부터 발생, 자주 바뀌거나 양이 증가
7.속성
-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인스턴스로 관리하고자 하는 의미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
- 한 개의 엔터티는 2개 이상의 인스턴스 집합
- 한 개의 엔터티는 2개 이상의 속성을 가짐
- 한 개의 속성은 1개의 속성값을 가짐
특성에 따른 속성 분류
- 기본 속성
- 설계 속성
- 파생 속성
8.엔터티 식별자
- 최소성: 주식별자는 최소성을 만족하는 키이다.
- 대표성: 주식별자는 엔터티를 대표할수 있어야 한다,
- 유일성: 주식별자는 엔터티의 인스턴스를 유일하게 식별한다.
- 불변성: 주식별자는 자주 변경되지 않아야한다.
*키의종류
- 기본키 : 후보키 중에서 엔터티를 대표할수 있는키이다.
- 후보키 : 후보키는 유일성과 최소성을 만족하는 키이다.
- 슈퍼키 : 슈퍼키는 유일성은 만족하지만 최소성을 만족하지않는키이다.
- 대체키 : 대체키는 여러개의 후보키 중에서 기본키를 선정하고 남은 키이다.
- 외래키 : 하나 혹은 다수의 다른 테이블의 기본 키 필드를 가리키는것으로 참조 무결성 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키이다.
'자격증 > sql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qld 30회 기출 오답정리(1) (0) 2022.05.18 sqld[빈출 개념 복습05/05~05/28] (0) 2022.05.17 SQLD[요약정리(4)05/05~05/28] (1) 2022.05.13 SQLD[요약정리(3)05/05~05/28] (0) 2022.05.10 SQLD[요약정리(2)05/05~05/28] (0) 2022.05.09